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양주3

10가지 이상의 한약재가 들어가야 붙는 이름, 청주 신선주 신선과 같이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그 염원을 담아 마시는 술이 약주입니다. 그중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4호인 신선주는 10가지 이상의 약재가 들어가는 약주입니다. 신선주는 충북 함양 박 씨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약주로, 누룩부터 모든 과정이 전통의 모습을 고수하고 있으며 현재는 ‘현암재’에서 신선주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열 가지 이상의 약재가 들어가야 붙는 이름 - 신선주 신선은 죽지 않는다. 늙지도 않는다. 불로불사의 신선이 마시는 술을 약주라고 합니다. 옛말에 약주는 ‘백약의 으뜸’이라고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신선’이라는 이름은 주로 약재가 들어간 술에 붙는 이름입니다. 신선주는 몇 가지의 약재가 들어가냐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릅니다. 5가지의 약재가 들어가면 ‘오선주.. 2023. 4. 6.
연엽주, 가을의 풍미를 담은 전통주 연잎을 사용하여 만든 연엽주는 가을의 풍미를 담은 전통 주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엽주의 역사, 제조 과정, 특징, 맛과 향, 그리고 연엽주와 어울리는 안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산의 연엽주가 전국적으로 가장 유명하다고 합니다. 연엽주의 역사와 유래 연엽주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생산되는 전통적인 쌀소주입니다. 연엽주의 역사는 약 500년 전 조선 중기인 16세기말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당시 군산 일대에는 쌀을 삶아 떠서 말리는 연작기법이 유행하였는데, 그때부터 쌀을 말린 연작에서 열매인 연엽이 떨어져 산지 근처 물에서 발견되면서 연엽주의 유래가 시작되었습니다. 연엽주는 조선시대에는 국왕과 관료들이 즐겨 마셨다는 기록이 있으며, 1910년대에는 독일 및 일본으로 수출되어 세계적으로도 .. 2023. 3. 22.
진시황제가 찾던 구기자로 빚은, 청양 명물 구기자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된 청양 구기자주는 청양의 대표적 특산물인 구기자를 재료로 만든 청주류의 일종입니다. 구기자 이외에 두충과 국화, 감초와 같은 약재가 들어가 향이 그윽한 보양주로서도 손색이 없습니다. 알코올 도수 16도의 구기자주는 구기자 특유의 향과 새콤하면서도 감칠맛 나는 달콤함이 감도는 것이 특징입니다. 구기자주의 정의 구기자주는 기본적으로 쌀과 누룩 그리고 물로 빚는 청주류입니다. 여기에 더하는 재료로 구기자나무의 뿌리와 잎, 열매를 모두 사용하고 감초와 국화, 두충껍질과 국화 등을 넣어 만든 보양주인 약주(藥酒)의 범주에 속합니다. 청양 구기자주는 충남 청양의 하동 정씨 집안에서 약 150여년 전부터 빚어 온 집안의 내림술로서의 전통을 가진 가양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0.. 2023.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