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주별미3

제주도 인심은 "성게 미역국"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성게국은 구살국 또는 성게미역국으로 불리며 성게 알에 미역을 넣어 끓인 국입니다. 제주지역에서 국으로 만든 음식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제주특별자치도의 향토 음식입니다. 제주에서는 성게를 '구살'이라고 불러 '구살국' 또는 '성게미역국'이라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게 미역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게의 정의와 역사 ◈ 성게의 정의 성게는 성게아문 성게강에 속하는 극피동물로 본래 명칭이 ‘섬게’인데 일반적으로 성게로 불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식용하는 성게는 말똥성게, 보라성게, 북쪽말똥성게, 분홍성게 등이 있습니다. 성게는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초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종류와 지역에 따라 맛과 향, 색이 각기 다릅니다. 우리가 보통 성게 알을 먹는다고 하지만 실제로 성게에서 식용하는 .. 2023. 10. 4.
제주도의 막걸리라 불리는, 제주 오메기술 오메기술은 차좁쌀 가루를 익반죽 해 만든 오메기떡에 누룩을 섞어 반죽한 후 적당량의 물을 넣어 발효시켜 만든 제주특별자치도의 전통 민속주입니다. 오메기술은 차좁쌀 반죽으로 도넛과 비슷하게 생긴 구멍 떡을 만들어 뜨거운 물에 익힌 다음, 떡을 으깨어서 누룩을 섞어 만든 술밑을 항아리에 넣고 숙성시켜서 얻는 술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주 우리나라의 전통주 가운데 가장 먼저 연상되는 술을 꼽으라면 아마도 막걸리(탁주)와 청주, 소주 등을 떠올릴 것입니다. 그 역사 또한 오래되어 옛 문헌에는 막걸리는 ‘탁료(濁醪)’, ‘탁주(濁酒)’라는 이름으로 청주와 더불어 등장합니다. 고려 중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저자 이규보(李奎報)는 자신과 막걸리에 얽힌 사연을 소재로 삼은 ‘백주시(白酒詩)’를 남겼는데, 이.. 2023. 2. 28.
제주에는 전복과 유자도 많아요, 제주 전복김치 제주는 삼다도라고 세 가지가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제주에는 전복도 많고 유자도 많습니다. 전복과 유자로 맛을 낸 김치가 제주 전복김치라고 합니다. 솔직히 필자도 먹어보진 못했는데 이 두 가지 조합으로 맛을 내면 정말 환상적인 맛이 날 거 같습니다. 알아보러 가겠습니다. 제주도 김치의 특징 제주 김치는 지형적 특징으로 바다에서 나는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가 많습니다. 전복김치는 총각김치, 톳김치와 같이 제주 김치를 대표하는 향토음식의 하나로 조선후기의 고문헌에서도 식용의 기록이 확인되는 음식으로 전복과 유자의 주산지인 제주도와 남부 해안지방에서 만들어 먹습니다. 제주도는 한반도 남단에 위치한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기후가 온난하여 한겨울에도 생장하는 채소를 이용하여 김치를 담갔기 때문에 .. 2023. 2.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