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추6 한국 민속학 관점에서 바라본 고추장의 정의 한국 사람에겐 김치와 고추장에 DNA가 몸에 흐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필자도 지금보다 나이가 어릴 때는 김치나 고추장이 꼭 있어야 밥을 먹냐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나이가 점점 들수록 없어서는 못 살 거 같습니다. 이번엔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고추장을 만들었고 계승 시켜 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고추장의 정의 찹쌀가루·보릿가루 등 곡물가루로 떡이나 죽을 만든 다음 메줏가루, 고춧가루, 소금을 넣고 섞어서 발효시킨 매운맛의 장입니다. 고추장은 대두로 만드는 간장·된장과 함께 우리 고유의 발효 식품입니다. 탄수화물 가수분해로 생긴 단맛, 콩 단백질 분해로 생성된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이 잘 조화를 이룬 복합 조미료이기도 합니다. 고추가 장에 사용된 시기는 고추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임진왜.. 2022. 12. 9. 한국인의 대표 향신료 고추에 관한 역사와 효능 이번에는 김치의 대표적인 양념 중 하나인 고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추의 성분과 역사, 그리고 효능을 살펴보면서 김치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파악해 보세요. 김치를 대표하는 대표 음식 중 하나인 고추를 통해 한국 음식의 매운맛을 즐겨보세요. 고추의 역사 고추는 전 세계인에게 애용되는 대표적인 매운맛을 지닌 조미료입니다. 1493년 콜럼버스가 스페인으로부터 가져와 후추와 구분하여 고추라 명명하였고 잉카제국에서는 아히(Aji), 페루 지역에서는 우츄(Ucho, Ucha), 미국에서는 캅시컴(Capsicum) 식물체의 매운 과실이나 매운맛을 표현하고자 칠리(Chili 또는 Chile)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칸지역의 슬라브족들은 Peperke, Piperke, 또는 파파 카(Paparka)로 불렀으며.. 2022. 7. 18.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