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혜2

안동식혜에 관한 두번째 이야기, 안동식혜 만들기 지난 포스팅에서 안동식혜에 관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인기 있는 드라마에서 안동식혜에 관한 내용이 잠깐 나왔었는데 갑자기 조회수가 많이 늘어서 깜짝 놀랐었습니다. 이번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지 못한 안동식혜 조리법을 추가하였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안동식혜에 관한 이야기 안동식혜는 찹쌀로 지은 고두밥에 엿기름, 무, 고춧가루, 생강, 물을 재료로 하여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킨 전통 음료입니다. 식혜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단맛의 감주와는 달리 재료에서 우러난 알싸한 향과 매콤하고 얼큰한 맛을 지닌 안동과 안동문화권에 속한 경북북부지방에만 있는 경상북도 안동시의 향토 음식입니다. 경상북도 안동지방은 예로부터 지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적인 환경 하에서 독특한 음식.. 2023. 2. 14.
한겨울에 먹는 간식이자 후식인 "안동식혜" 지역의 이름을 따서 음식명을 한다는 자체는 그 음식과 지역의 궁합이 잘 맞는다는 것을 방증하기도 합니다. 이번에 소개할 안동식혜가 그 대표적인 음식인데 자료를 찾아보니 재미난 얘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흔히 알고 있는 식혜와 많이 다른 안동식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동식혜의 정의와 설명 찹쌀 또는 쌀(좁쌀, 수수도 가능)로 지은 고두밥에 고춧가루 씻은 물과 다진 생강, 무채 등을 넣은 후, 엿기름을 붓고 삭힌 경상북도 안동 권역의 간식 겸 음청류입니다. 안동식혜의 유래에 관해서는 경북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소식혜(蔬食醯)에서 발전된 것일 수 있으며, 경북지역의 ‘밥식혜’가 음료형 식혜(食醯){일명 감주(甘酒)}와 반찬형 어식해(魚食醢)의 영향을 받아서 고안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밥에 엿기름물을 .. 2022. 11.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