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쓴맛2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이것만 있을까요? 흔히 우리가 말하는 맛의 종류는 단, 짠, 신, 쓴맛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맛 외에 또 하나가 공식적인 맛으로 정해져 있는 것을 아시나요? 바로 감칠맛입니다. 감칠맛이 없으면 아주 짜거나 아주 달게 먹어야 우리의 뇌가 맛있다라고 인식한다고 합니다. 건강에 안 좋을 거 같습니다. 제5의 맛 감칠맛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초의 감칠맛 성분은 어떻게 발견되었나? 1908년 일본의 과학자인 이케다 기쿠나에 박사에 의해 글루탐산을 발견하였습니다. 맛의 기본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등 4가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맛있는 음식을 규정하기는 힘듭니다. (매운맛은 맛이라기 보다는 피부가 느끼는 통증으로 맛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미각이 맛있다고 반응하는 이유는 바로 감칠맛 때문입니다. 감칠맛의 .. 2023. 8. 28.
겨자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과 쓴맛이나는 이유 필자는 겨자와 아주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래에 겨자가루에서 쓴맛이 많이 난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그 이유와 겨자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 쓴맛이 나는 성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려 합니다. 그리고 쓴맛을 없애는 방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겨자가루가 매운 이유 겨자씨의 매운맛은 주로 겨자씨에서 발견되는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일종인 시니그린이라는 화합물에 기인합니다. 이 화합물은 머스터드가 특징적인 열과 매운맛을 내는 원인이 됩니다. 겨자씨를 갈거나 으깨서 물이나 다른 액체와 섞으면 씨에 들어 있는 여러 화합물 사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납니다. 시니그린은 이러한 화합물 중 하나이며 겨자씨에서 발견되는 미로시나제와 같은 효소와 상호 작용하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비롯한 다양한 분해 생성물을 형성합니다.. 2023.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