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삼2

궁중에서 일상식으로 꼭 오르던 - 금중탕(錦中湯) 필자가 전에 조리장 시험을 준비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이 한식의 궁중 음식이었습니다. 필자는 양식을 전공해서 양식의 실기는 매일 하던 거라 어려움이 없었는데 선택 과목 중에 한식, 일식, 중식 중 한식을 택하였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음식 명 자체가 매우 생소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금중탕도 이름만으론 잘 모르겠습니다. 금중탕(錦中湯)의 정의와 특징 쇠고기, 닭고기, 전복, 해삼, 다시마, 무, 박고지를 넣어서 푹 삶은 다음 건더기를 꺼내 썰고 양념하여 다시 끓인 국입니다. 금중탕은 주로 궁중에서 먹던 국입니다. 시대에 따라 재료 변화가 있지만 닭, 쇠고기, 내장, 두골, 곤자소니, 배골, 해삼, 전복, 청과, 수근, 청근, 박고지, 진이 등 고급 재료가 사용됩니다. 양념도 간장, 호초말, 진말, 진유.. 2023. 1. 16.
가장 화려한 쌈요리의 대장 격인 구절판 이야기 옛 임금님 들은 나라의 가장 비싸고 좋은 음식만 드셨다고 합니다. 그 말은 곧 손이 많이 가고 구하기 힘든 음식을 주로 드셨다는 것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구절판도 각가지 재료에 손이 엄청나게 많이 가는 요리입니다. 근래에는 고급 한정식집에서나 볼 수 있는 음식입니다. 알아보러 가겠습니다. 구절판의 정의 구절판에 둘레 여덟 칸에 채소·버섯·고기·전복·해삼·계란 등 익힌 것을 담고, 가운데 칸에 담은 밀전병으로 싸서 먹는 음식입니다. 구절판은 우리 고유의 오방색(五方色)인 노란색·붉은색·녹색·흰색·검은색을 고루 갖춘 대표 음식으로, 가장 화려한 모양의 음식입니다. ‘구절판九折坂’은 팔각으로 된 나무 그릇으로, 가운데에 작은 팔모의 틀이 있어서 칸이 모두 아홉 칸으로 나뉩니다. 보통 옻칠을 하고, 뚜껑이나 옆.. 2022.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