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황태2

명태의 창자로 만드는 창난젓 이야기 명태는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적 사랑을 받는 생선입니다. 명태의 알을 명란젓으로 사랑을 받고 아가미는 아가미젓으로 우리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온몸을 받쳐 사람에게 사랑을 받는 생선입니다. 어획량이 줄어서 양식을 연구한 결과가 좋다고 하니 기대를 해봅니다. 이번엔 명태의 창자로 만든 창난젓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창난젓의 정의와 특징 명태의 창자 부위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젓갈입니다. 명태는 버릴 것이 없는 수산물입니다. 아가미는 서거리젓, 창자는 창난젓, 알은 명란젓을 담급니다. 창난젓을 담글 때 동태 창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생태 창자만으로 담그는 것이 질 좋은 젓갈이 됩니다. 창난젓은 내장에 함유된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를 비롯한 각종 효소가 숙성 중에 작용하여 특유한 맛을 냅니다. .. 2022. 12. 15.
강원도의 대표 음식인 막국수에 관한 이야기 강원도 음식 하면 생각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닭갈비와 막국수, 황태해장국입니다. 닭갈비는 전에 이야기하였고 이번엔 막국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간단히 막국수의 유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자주 갔던 막국수집을 소개하려 합니다. (광고는 아닙니다, 필자가 맛있게 먹은 집이라 소개합니다) 막국수의 유래 막국수는 화전민과 관련이 있습니다. 강원도에는 메밀을 많이 재배했는데 메밀은 척박한 땅, 쉽게 말해 식물이 자라는 양분을 주지 못하는 땅에서도 잘 자라 화전을 3년~4년 해서 땅이 척박해지면 메밀 씨를 뿌리고 풍부한 메밀로 국수를 해먹은 것입니다. 화전민들이 끼니를 때우려고 '마구' 뽑은 거친 국수였습니다. 막국수의 유래에 관하여 에 자세한 내용이 나오는데 19세기 말 을미사변을 계기로 춘천 지역에서는 .. 2022. 8.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