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들 중에는 한 번 먹고 잘 안 먹게 되는 음식이 있는가 하면 한 번 먹게 되면 자꾸만 먹게 되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자꾸만 먹게 되는 음식들은 우리 몸을 아주 망치게 만들어 줍니다. 음식에 악마의 혼령이 붙어있는 건지 아니면 우리의 마음을 홀리는 무언 가가 있는지 알아봐야 할 거 같습니다.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조금만 먹어야 하는 음식들
맛있는 음식은 생각하기만 해도 입에서 군침이 돕니다. 실제로 초콜릿이나 케이크 등 좋아하는 달콤한 디저트를 생각만 해도 우리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됩니다. 뇌에 기분 좋은 자극을 주는 것입니다. 가끔 한 번씩 맛있는 음식을 걱정 없이 즐기는 건 좋습니다. 하지만 너무 욕심을 부리지 않아야 합니다. 이런 음식들은 우리 입맛을 자극하고 식욕을 북돋아 살찌게 하기 때문입니다.
자꾸 식욕을 부추기는 음식, 미국 건강정보 매체 ‘Eat This, Not That’에서 소개했습니다.
※ 감자튀김과 탄산음료
보통 칼로리가 높고 설탕, 소금, 포화지방이 첨가된 가공식품은 식욕을 자극하는 최악의 음식입니다. 손이 가는 걸 멈출 수 없을 만큼 과도하게 맛을 더하고 가공처리를 많이 거친 음식에는 탄산음료 및 기타 가당 음료, 사탕, 아이스크림, 감자튀김, 냉동피자, 도넛 등이 있습니다.
※ 정제 탄수화물
정제된 탄수화물은 섬유질이 부족해 배고픔을 그리 오래 만족시키지 못합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많은 시리얼 제품의 경우 설탕으로 코팅이 되어있습니다. 첨가당과 정제 탄수화물은 혈당을 치솟게 하며 포만감을 느끼려면 더 많은 양을 먹어야 합니다. 또한 칼로리도 높아 살이 찌기 쉽습니다.
※ 젤리 도넛
한 입 베어 물면 달콤한 잼이나 크림이 흘러나오는 도넛의 달콤함은 기분을 좋아지게 하고 더 먹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합니다. 이런 음식을 먹을 때 우리 뇌의 보상영역에 있는 신경세포들은 매우 활발해집니다.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나쁜 감정이 들 때에는 이에 더욱 취약해집니다.
※ 사탕
사탕 또한 입에 계속 넣고 싶은 욕구를 자극합니다. 살이 찔까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액상과당을 넣어 만든 특정 사탕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과당을 섭취하면 렙틴저항성이 생기고 비만이 될 수 있습니다. 렙틴은 식욕을 억제하거나 신체의 에너지 사용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인데, 렙틴저항성이 생기면 적당히 음식을 먹었음에도 계속해서 배고픈 느낌이 듭니다.
과당을 많이 먹인 쥐들에게서 렙틴저항성이 생겼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 쥐들의 경우, 이후 고지방식을 주었을 때 과당이 없는 먹이를 먹다 동일한 고지방식으로 바꾼 쥐와 다르게 계속해서 과식을 했고 비만이 됐습니다.
※ 아이스크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저널에 실린 한 동물 연구에서는 지방이 많고 달콤한 고칼로리 음식이 비만 쥐들을 충동적으로 과식을 하게 만든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맛있는 음식은 기분을 좋아지게 하는 신경화학물질인 도파민 분비를 유발해, 뇌의 보상센터에 코카인이나 헤로인이 일으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전달합니다.
쥐들이 이러한 음식을 더 많이 먹을수록 같은 수준의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번에 더 많이 먹어야 한다는 것. 이는 중독성 약물과 유사한 반응입니다.
결론
위 소개한 음식을 싫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대부분 하나 정도 먹고 기분 좋을 때 더 이상 안 먹는데 주위에 보면 꼭 남들보다 많이 먹는 사람들을 보게 됩니다.
자 그럼 우린 이런 사람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통제를 하거나 억제를 시켜야 합니다.
왜냐하면 내 주위라면 내 직장 동료이거나 가족, 아니면 나랑 친한 사이 이기 때문입니다.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주위를 둘러보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가 아프다면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할, 잘못된 양치질 습관 (0) | 2023.02.15 |
---|---|
뇌를 먼저 속여 비만을 예방하자, 비만 예방 음식들 (0) | 2023.02.10 |
다이어트에도 유행이 있다, 저탄고지에 대한 이해 (2) | 2023.02.07 |
몸에 좋다고 소문 난 블루베리, 그 효능과 성분은? (0) | 2023.02.07 |
갱년기 여성이 화병이 많이 걸리는 이유,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음식 (2)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