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강원도 별미5

쏘가리 매운탕: 효심 가득한 자녀가 대접하는 최고의 매운탕 효자탕이라고도 불리는 쏘가리 매운탕은 민물고기 매운탕 중에 최고라고 손꼽습니다. 쏘가리 매운탕은 쏘가리와 애호박, 미나리, 풋고추, 무, 대파, 애호박 등의 채소를 넣고 끓인 음식입니다. 쏘가리는 산란을 앞둔 봄에 제일 맛이 오르는 시기이기 때문에 봄철에서 가을철에 걸쳐 잡히는 것이 맛이 좋습니다. 쏘가리의 개요 1. 쏘가리(Siniperca chuatsi)는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민물고기의 일종입니다. 날씬한 몸, 납작한 머리, 비늘에 검은 얼룩과 줄무늬가 있는 생동감 넘치는 패턴이 있는 독특한 외모가 특징입니다. 이 물고기는 길이가 최대 30cm에 달하며 살이 섬세하고 부드러운 맛으로 유명합니다. 2. 쏘가리는 우리나라의 한강을 중심으로 해서 남쪽으로는 낙동강, 서쪽으로는 압록강에 이르.. 2023. 9. 22.
고속도로 휴게소의 숨은 비밀무기: 마약 옥수수 일단 마약이란 단어가 붙었다는 건 범상치 않은 음식임에는 분명해 보입니다. 강원도로 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시작한 이 음식은 개그우먼인 이영자 씨가 소개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실은 강원도 옥수수로 만들어야 마약의 기운이 난다고 합니다. 함께 알아보러 가겠습니다. 옥수수의 미래 옥수수의 원산지는 아메리카 대륙입니다. 멕시코 부근에 위치해 있던 고대 마야 문명에서는 옥수수로 최초의 사람을 만들었다는 신화가 있습니다. 고대 아즈텍 문명에서도 옥수수는 신들이 인간에게 주는 풍요의 상징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당시 원군으로 온 명나라 군인들의 식량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옥수수는 중국어로 위수수(玉蜀黍, yùshǔshǔ)라고도 부르는데, ‘옥(玉)과 같은 수수’라는 뜻입니.. 2023. 9. 19.
강원도 음식: 여름엔 막국수, 겨울엔 장 칼국수 강원도의 3대 별미로 꼽는 장 칼국수는 예로부터 장류가 발달한 강원도 지역의 특색이 녹아 있는 투박하면서도 맛있는 음식입니다. 보통 국수의 기본은 해물 육수인데, 강원도 내륙의 산촌지방에서는 멸치나 다시마를 구하기가 힘들어 된장과 고추장을 풀어 육수를 만들고 얼큰하게 끓여낸 것이 바로 장 칼국수입니다. 장 칼국수의 정의 기존의 칼국수에 고추장과 된장으로 칼칼하게 맛을 낸 요리로 강원도의 향토 음식입니다. 멸치 육수에 각종 장을 넣어 간을 맞추기 때문에 국물 맛이 시원하고 구수한 것이 특징입니다. 지역에 따라 홍합과 같은 해산물을 넣기도 하고 간 고기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장 칼국수의 주재료인 된장은 콩으로 메주를 쑤어 말린 뒤 발효시킨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이며, 주로 음식의 양념으로 쓰이는 구수한 맛의.. 2023. 9. 19.
추어탕보다 담백하고 비리지 않은, 꾹저구탕 꾹저구는 강원 영동지역의 토종 민물고기로, 뚜거리, 뚝저구, 뿌구리, 꾸부리 등으로 불립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이 어종은 꾹저구탕의 주재료로 이용되며, 추어탕보다는 담백하면서 부드러운 맛이 특징입니다. 강릉의 남대천 등에서 많이 잡히는 이 어종은 강원도 향토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릉의 토착 어종 '꾹저구', 오랜 역사와 맛있는 꾹저구탕 꾹저구는 몸길이 12㎝ 정도의 망둥어과의 민물고기로 강바닥에 붙어삽니다. 머리 부분은 원통이지만 꼬리 쪽으로 갈수록 점차 옆으로 납작한 형태입니다. 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에 사는 육식성 어류이며 강릉의 남대천 등 영동지역 하천에서 많이 잡힙니다. 1990년대 꾹저구 식당이 활성화됐을 때 꾹저구 잡이는 마을 학생들에게 더없는 용돈 벌이였습니다. 뚜거리, 뚝저구, .. 2023. 4.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