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떡8 추석 송편의 유래와 의의, 간단하게 만드는 법 이번달 말이면 추석입니다. 올해는 날씨도 무척 더웠고 물가도 많이 올라 추석 상 차리기가 무척 두려워집니다. 그래도 조상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올 한 해를 무탈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감사를 드리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인 송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송편의 유래 송편(송편)은 수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는 매혹적인 역사를 지닌 한국 전통 떡입니다. 송편이라는 이름은 소나무를 뜻하는 '송'과 평평하다는 뜻의 '편'이라는 두 한국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름은 종종 작고 납작한 솔방울과 비슷하게 만들어지는 케이크의 모양을 반영합니다.송편의 기원은 고려시대(918~1392)로 거슬러 올라가며, 추석과 기타 중요한 의례 때 조상에게 제물로 바쳤.. 2023. 9. 7. 슬픈 역사를 품고 배고픔을 이겨낸, 칠곡 송기떡 송기떡은 옛날 보릿고개를 넘길 때 소나무의 속껍질에 쌀을 섞어 죽이나 떡으로 만들어 먹었던 구황음식에서 유래한 경상북도 칠곡군의 향토음식입니다. 이번 글에선 송기떡에 관한 슬프지만 역경을 이겨낸 이야기입니다. 송기떡의 정의와 유래 송기(소나무의 속껍질) 가루와 멥쌀가루를 버무려 시루에 쪄 안반에 친 떡입니다. 재래종 소나무가 사용됩니다. 주로 가난한 농민들이 보릿고개를 넘기기 위해서 만들어 먹었으며, 비싼 곡물을 적게 넣고 배를 채우기 위한 방편이었습니다. 드물게 부유한 집에서도 향이나 색을 위해서 소량의 송기를 넣은 떡을 만드는 경우가 있었는데 간혹 송기떡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것은 이쪽이고, 진짜 송기떡은 개떡처럼 먹을만한 음식은 아니었습니다. 임진왜란, 정유재란, 병자호란 당시의 굶주린 백성들이 .. 2023. 4. 5. 항일 투쟁의 혼이 담겨있는, 의령 망개떡 망개떡은 경상남도 의령지역에서 5월 단오 때부터 한겨울까지 만들어 먹던 전통음식입니다. 망개떡은 청미래덩굴(나무)을 일컫는 경상도 방언인 망개나무에서 유래했습니다. 청미래덩굴, 즉 망개나무 잎으로 싸는 떡이라 해서 '망개떡'으로 부르게 됐습니다. 임진왜란 때는 전투식량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의령 만개떡의 정의와 특징 망개떡은 청미래덩굴 잎으로 떡을 감싼 송편의 일종으로 경상남도 의령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입니다. 청미래덩굴은 백합과의 활엽 덩굴성 관목으로 뿌리에는 녹말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흉년에는 구황식품으로 이용되었습니다. 망개떡은 경상남도 의령군의 향토음식으로 떡의 형태와 만드는 법은 송편과 유사하지만 떡을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감싸서 쪄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떡의 명칭은 경상도 지방에서는.. 2023. 3. 28. 구운 찹쌀떡으로 맛을 낸, 울산 굽은떡국 우리나라에는 떡국 종류가 참 많은 거 같습니다. 필자의 포스팅을 보아도 떡국에 관한 내용이 몇 가지가 있는 거 같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떡국은 찹쌀로 떡을 만든 후 그 떡을 구워서 떡국을 만드는 울산의 향토 음식입니다. 생각만 해도 맛있을 거 같습니다. 떡국으로도 먹고 조청에 찍어 먹어도 맛있을 거 같습니다. 굽은떡국의 정의와 특징 굽은떡국은 찹쌀가루를 익반죽 하여 만든 반대기를 구운 다음 골패모양으로 썰어 굴과 함께 끓여낸 울산광역시의 향토 음식입니다. 음식이름에서 ‘굽은’의 뜻은 ‘구운’의 경상도식 발음입니다. 굽은떡국은 ‘꾸분 떡국’이라고도 부릅니다. 멥쌀로 만든 가래떡을 사용하는 보통 떡국과는 달리, 찹쌀가루로 만든 생떡을 구워서 떡국을 만든다는 것이 굽은 떡국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또한 해산물.. 2023. 2.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