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빔밥6

진주비빔밥: 칠보화반(七寶花盤)의 역사와 맛 진주비빔밥은 사골국물로 지은 밥에 다양한 나물과 육회, 엿꼬장을 비벼 먹는 경상남도 진주의 전통 음식입니다. 이 음식은 ‘칠보화반(七寶花盤)’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일곱 가지 보배로운 꽃 같은 재료들이 조화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진주비빔밥의 역사    진주비빔밥의 역사는 한국의 전통 음식 문화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이야기입니다. 이 음식은 경상남도 진주에서 유래되었으며,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왔습니다.  비빔밥의 기원은 조선시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비빔밥이라는 이름이 등장하기 이전, 이와 유사한 형태의 음식이 이미 존재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혼돈반'입니다. 15세기 무렵에는 이 음식이 손님에게 대접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음식의.. 2024. 11. 20.
싱그러운 바다의 맛과 향, 거제도 멍게비빔밥 즐기기 거제도 멍게비빔밥은 멍게젓갈과 밥, 김 가루, 참기름, 야채 등을 섞어 만든 전통 음식입니다. 멍게젓갈은 멍게의 살만으로 만들며, 멍게의 특유의 향과 단맛이 어우러져 입안에서 싱그러운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고추장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멍게젓 각자의 풍미를 더 살리기 위함입니다.     봄바다를 알리는 우렁쉥이, 멍게의 맛과 역사 바다에 봄에 왔음을 알리는 붉은 꽃 같은 멍게의 표준어는 '우렁쉥이'입니다. 멍게는 본래 방언이었지만 표준어인 우렁쉥이 보다 실생활에서 친숙하게 사용되자 멍게와 우렁쉥이 모두 표준어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4월에서 6월에 제철인 멍게는 붉고 우툴두툴한 껍질을 벗기면 오렌지색의 탱글한 속살이 나옵니다. 이 속살을 입에 넣으면 멍게 특유의 향과 알싸하면서도 달큼한 맛이.. 2023. 5. 11.
건강하고 맛있는 우리의 전통 음식 - 산채비빔밥 비빔밥은 한국을 대표하는 한식의 대표 음식입니다. 비빔밥을 대표하는 전주비빔밥과 달리 산에서 나는 산나물을 주 재료로 사용하는 산채비빔밥은 건강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선 산채비빔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산채비빔밥, 건강한 한국의 전통음식 갓 지은 고슬고슬한 밥에 온갖 산채를 얹어 고추장에 비벼 먹는 산채비빔밥. 나물마다 각각 향이 다르고 식감이 달라 입이 호강합니다. 풍부한 섬유소, 무기염류, 비타민, 엽록소, 각종 효소 등 다양한 영양성분도 함유해 몸도 건강해집니다. 국토의 70%가 산지인 우리나라의 특성상 예로부터 산나물이 자연스럽게 대중화되며 산채비빔밥은 우리의 음식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렸져 있습니다. 산채비빔밥에 들어가는 주요한 채소와 그 효능 ▶ 산채비빔밥은 다양한.. 2023. 4. 10.
섣달 그믐날 남은 음식은 해를 넘기지 마라, 골동반 설날이 다가오니 우리 선조들은 그믐날에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역시 지혜로운 선조들은 이날도 똑 부러지게 음식을 드셨습니다. 한해를 잘 마무리하면서 새해에는 좋은 일만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골동반을 먹었다고 합니다. 이번엔 골동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골동반(骨董飯)의 정의와 유례 남은 음식은 해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여 섣달그믐날 저녁에 남은 음식을 모아 비비는 밥입니다. 민간의 풍속에 음력 12월 30일인 섣달그믐에 남은 음식을 모두 모아서 골동반(骨董飯)을 먹는다고 합니다. 여기서 골동반은 비빔밥을 가리키는 한자어입니다. 중국 명나라 때의 동기창(董其昌)이 쓴 『골동십삼설(骨董十三說)』이란 책에서는 분류가 되지 않는 옛날 물건들을 통틀어 골동(骨董)이라 부른다고 하면서, 이 뜻을 이.. 2023. 1.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