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충청도 별미8 2018년 남·북 정상회담 만찬주, 면천 두견주 면천 두견주는 진달래 꽃잎을 섞어 빚은 충청남도 면천지방의 전통주입니다. 진달래꽃을 두견화라고도 하여 두견주라고 부릅니다. 진달래를 넣어 빚은 두견주는 그 향기뿐만 아니라, 피로회복과 혈액순환 개선, 천식, 부인병 등에 효과가 좋아 예로부터 신분에 관계없이 즐겨 빚어 마셨던 술이었습니다. 두견주의 정의 진달래는 봄을 알리며 산과 들을 연분홍으로 물들이는 꽃입니다. 진달래를 ‘두견화(杜鵑花)’라고 하는데, ‘홍두견’, ‘백두견’, ‘영산홍’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집니다. 진달래는 봄 기운을 물씬 풍기는 꽃이면서 식용이 가능한 꽃입니다. 조상들은 이러한 진달래를 이용하여 화전이나 나물로 먹기도 했는데, 진달래를 넣은 술인 두견주가 그 중에서도 최고입니다. 진달래를 넣어 빚은 두견주는 그 향기뿐만 아니라, 피.. 2023. 3. 2. 한끼 식사로도 충분한 곡물 인스턴트 원료, 미숫가루 요즘은 초등학교라 부르지만 필자가 어릴 적엔 국민학교라고 했습니다. 필자가 나이가 좀 있습니다. 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면 일 나가신 어머님이 쪽지 한 장 남겨놓고 가신적이 많았는데 그중에 가장 많은 메모가 "배고프면 미숫가루 타 먹어라"라고 하시던 말씀이 기억이 납니다. 추억의 음료이자 근래에는 건강음료인 미숫가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숫가루의 정의 보리나 멥쌀, 찹쌀 등의 곡물을 쪄서 말린 후에 솥에 넣고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미숫가루라고 합니다. 미숫가루를 시원한 꿀물이나 설탕물에 넣어 만든 음료를 미수라 합니다. 미숫가루는 휴대하기 간편하고 저장성도 좋아 일종의 인스턴트식품이라 할 수 있는데, 언제 어디서나 물만 있으면 먹을 수 있었던 여름철의 음료수이자 식사 대용품입니다. 미수와 .. 2023. 2. 7. 약보다 좋은 음식이 있다, 더덕고추장구이 한의학에서는 몸이 아파서 약을 먹는 것보다 몸에 좋은 음식을 먹는 게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음식만 잘 먹어도 몸이 안 아프고 건강하게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번엔 그중에서 산삼과 비교되는 더덕을 이용한 음식인 더덕고추장구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덕고추장구이의 정의 더덕고추장구이는 껍질을 벗겨낸 더덕을 소금물에 담가 쓴맛을 빼낸 다음 방망이로 얇게 두드려 편 후 기름장을 발라 초벌구이하고, 고추장 양념을 발라가며 석쇠나 팬에 다시 구워 낸 음식입니다. 더덕 특유의 식감과 향이 일품입니다. 더덕의 효능과 더덕고추장구이 만드는 법 우리나라 산간 지대에 분포하는 더덕은 도라지과의 여러해살이뿌리 식물입니다. 주로 뿌리를 활용하는 더덕은 도라지나 인삼과 생긴 모습이 흡사하지만 산속에서도 퍼져 나가는.. 2023. 2. 7. 멸치대신 피라미나 빙어로 즐겨먹는, 도리뱅뱅이 예전에는 바닷가에서 나는 음식을 내륙지방에선 구하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내륙에서 많이 잡히는 피라미나 빙어, 모레무지로 음식을 해서 먹은 기록이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음식이 도리뱅뱅이입니다. 특히 충청도 내륙 지방에서 많이 먹고 있는 도리뱅뱅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리뱅뱅이란 프라이팬에 빙어나 피라미, 모래무지 등의 작은 민물 생선을 빙 돌려 올려놓고 고추장 양념으로 튀겨낸 음식입니다. 물고기를 동그랗게 돌려 담는다고 해서 도리뱅뱅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도리뱅뱅이는 각종 무기질과 칼슘, 단백질이 풍부하고 곁들여지는 채소와 함께 먹으면 일상에 지쳐 잃었던 입맛을 돋웁니다. 바다 생선이 귀한 내륙지방인 충청 북도 지역에서는 강이나 호수에서 잡은 민물고기를 즐겨 먹었습니다. 강이나 시냇가에서 잡은.. 2023. 2. 6.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