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다리2

명태의 창자로 만드는 창난젓 이야기 명태는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적 사랑을 받는 생선입니다. 명태의 알을 명란젓으로 사랑을 받고 아가미는 아가미젓으로 우리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온몸을 받쳐 사람에게 사랑을 받는 생선입니다. 어획량이 줄어서 양식을 연구한 결과가 좋다고 하니 기대를 해봅니다. 이번엔 명태의 창자로 만든 창난젓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창난젓의 정의와 특징 명태의 창자 부위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젓갈입니다. 명태는 버릴 것이 없는 수산물입니다. 아가미는 서거리젓, 창자는 창난젓, 알은 명란젓을 담급니다. 창난젓을 담글 때 동태 창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생태 창자만으로 담그는 것이 질 좋은 젓갈이 됩니다. 창난젓은 내장에 함유된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를 비롯한 각종 효소가 숙성 중에 작용하여 특유한 맛을 냅니다. .. 2022. 12. 15.
냉면의 유례와 종류, 먹는 방법에 관한 설명 냉면(冷麵)은 한국 고유의 찬 국수 요리 중 하나이다. 삶은 국수를 찬 육수에 넣어 양념과 고명을 얹어 먹는 음식이다. 북한에서는 냉면이라 하지 않고 그냥 국수라 하고 평양식 국수 요리만 평양냉면이라 호칭한다. 냉면의 유례 이북 지역의 지역별 요리로써 인기 있던 냉면은 조선시대 숙종과 고종이 즐겨 먹었다는 문헌이 있을 정도로 오래된 음식이다. 그 유례는 고려시대에 까지 올라가며 장유(1587년~1638년)의 문집인 [계곡집]에 "자줏빛 육수에 냉면을 말아먹고"라는 시도 있다. 냉면의 대표적인 이름(평양냉면, 함흥냉면)에서 알듯이 감자와 메밀이 많이 수확되는 지역에서 겨울에 면을 뽑아 먹는 것으로 유례가 된 것이다. 추운 겨울에 별다른 식재료가 없어 감자와 메밀을 이용한 반죽으로 국수를 뽑았고 찰기가 없어.. 2022.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