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향신료71

한국인의 대표 향신료 고추에 관한 역사와 효능 이번에는 김치의 대표적인 양념 중 하나인 고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추의 성분과 역사, 그리고 효능을 살펴보면서 김치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파악해 보세요. 김치를 대표하는 대표 음식 중 하나인 고추를 통해 한국 음식의 매운맛을 즐겨보세요. 고추의 역사 고추는 전 세계인에게 애용되는 대표적인 매운맛을 지닌 조미료입니다. 1493년 콜럼버스가 스페인으로부터 가져와 후추와 구분하여 고추라 명명하였고 잉카제국에서는 아히(Aji), 페루 지역에서는 우츄(Ucho, Ucha), 미국에서는 캅시컴(Capsicum) 식물체의 매운 과실이나 매운맛을 표현하고자 칠리(Chili 또는 Chile)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칸지역의 슬라브족들은 Peperke, Piperke, 또는 파파 카(Paparka)로 불렀으며.. 2022. 7. 18.
후추의 정의와 한국사에서 바라본 유입 과정 이젠 우리의 식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후추. 설렁탕, 곰탕, 육개장 등 후추를 넣지 않고는 음식이라 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후추는 우리나라에 어떻게 들어왔고 지금은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겠다 후추의 정의와 성분 후추는 후추나무의 열매이다. 원산지는 인도 남부로 알려져 있다. 성분으로는 피페린(piperine)이 5~5.5% 들어 있고, 차비 신(chavicine)이 6% 내외, 정유가 1~2.5% 들어 있다. 성숙하기 전의 열매를 건조한 것을 후추 또는 검은 후추라 하고, 성숙한 열매의 껍질을 벗겨서 건조한 것을 흰후추라 한다. 맛과 향은 검은 후추가 강하다. 주로 가루를 내어 이용하며, 통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흰 후추는 검은 후추에 비해 가격이 비싸지만 뒷맛이 깨끗하고 매운맛이 더욱 강하다... 2022. 7. 15.
향신료를 찾아 떠나는 인류의 관점과 역사 요즘은 향신료가 많이 대중화되어 익숙한 식재료가 되었지만 과거 인류는 목숨을 걸고 구하는 매우 귀한 물건이었습니다. 왜 인류가 그렇게 향신료에 목숨을 걸었는지 알아보고 그렇게 해서 얻은 향신료가 어떻게 인류의 생활을 바꿨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향신료의 정의 및 활용 일반적으로 우리가 향신료라고 하는 것은 후추, 계피, 고추냉이 등 음식물에 향기와 맛을 더해주는 식물성 물질입니다. 사람들은 이미 근대 이전부터 향신료를 구하기 위해 미지의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대항해 시대를 열었고 오늘날 향신료는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인류의 식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다준 향신료의 종류는 실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심지어 동남아 지역에서는 정통 음식을 만들 때 첨가되는 향신료만 해도 20여 가지가 넘.. 2022.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