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

눈이 큰, 귀여운 생선 '빨간고기'의 정체 알아보기 빨간 고기'는 생선의 이름으로, 작고 귀여운 생선으로 회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특히 구운 것이 맛있으며, 뜨거운 기름에 튀겨 껍질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됩니다. 맛은 좋지만 가격은 높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알고 있나요? "빨간 고기" 경상도, 그중에서도 부산에 살던 사람이라면 어릴 적 ‘빨간 고기’를 먹은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정확한 명칭 없이 그저 ‘빨간 고기’라는 이름이면 다 통하던 이 생선의 정체는 눈볼대입니다. 시장에서는 보통 금태라고 부르는 생선인데, 조기와 같이 손바닥 만한 크기에 옅은 선홍빛으로 물든 아름다운 자태, 머리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커다랗고 동그란 눈동자, 마치 만화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모습을 하고 있는 녀석입니.. 2023. 4. 20.
일본의 대표 향신료 와사비(山葵)에 관한 이야기 회나 초밥을 먹을 때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주며 매콤한 맛을 내주는 향신료인 와사비. 대부분 와사비와 고추냉이를 같은 식물로 알고 있으나 엄연히 둘은 다른 식물이다. 물론 뿌리는 같으나 분류상 다른 식물이다. 요즘엔 육류에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와사비에 대해 알아보자. 와사비의 정의 양귀비목 십자화과 고추냉이 속 여러해살이풀. 품종에 따라서 북한, 동해안, 사할린, 일본 북부가 원산으로 기본적으로 서늘하면서 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건조한 환경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학명에서부터 드러나듯이 일본 품종이 대표적이라 흔히 '와사비'라고 부른다. 자생 지역이 적고 재배환경이 가장 까다로운 식재료이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싸다. 재배법이 개발된 것만도 기적일 따름. 일정하고 아주 깨끗한 샘물이 끊임없이 흐르는 곳이어.. 2022. 7. 27.
냉면의 유례와 종류, 먹는 방법에 관한 설명 냉면(冷麵)은 한국 고유의 찬 국수 요리 중 하나이다. 삶은 국수를 찬 육수에 넣어 양념과 고명을 얹어 먹는 음식이다. 북한에서는 냉면이라 하지 않고 그냥 국수라 하고 평양식 국수 요리만 평양냉면이라 호칭한다. 냉면의 유례 이북 지역의 지역별 요리로써 인기 있던 냉면은 조선시대 숙종과 고종이 즐겨 먹었다는 문헌이 있을 정도로 오래된 음식이다. 그 유례는 고려시대에 까지 올라가며 장유(1587년~1638년)의 문집인 [계곡집]에 "자줏빛 육수에 냉면을 말아먹고"라는 시도 있다. 냉면의 대표적인 이름(평양냉면, 함흥냉면)에서 알듯이 감자와 메밀이 많이 수확되는 지역에서 겨울에 면을 뽑아 먹는 것으로 유례가 된 것이다. 추운 겨울에 별다른 식재료가 없어 감자와 메밀을 이용한 반죽으로 국수를 뽑았고 찰기가 없어.. 2022. 7.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