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궁중음식8

탕평채, 한국음식에서의 화합의 상징 녹두묵을 만들어 잘게 썰고 고기볶음, 미나리, 김을 섞고 초장(醋醬)으로 무쳐 주로 봄에 먹는 음식입니다. 묵청포라고도 합니다. 탕평채라는 음식명은 영조 때 여러 당파가 잘 협력하자는 탕평책을 논하는 자리에 처음 등장한 음식에서 유래합니다. 탕평채와 화합의 의미 탕평채는 서로 다른 재료들이 하나로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음식으로, 이는 한국문화에서 화합의 상징으로 꼽힙니다. 다양한 채소, 고기, 해산물 등이 함께 사용되며, 이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하나의 맛으로 완성됩니다. 이처럼 탕평채는 각각 다른 요소들이 화합하여 조화로운 맛을 낸다는 의미에서 화합의 상징으로 인식됩니다. 탕평채와 한국문화에서의 화합 한국문화에서는 화합이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 지역, 인종 등의 다양성.. 2023. 4. 3.
궁궐에서 정성껏 만들어 임금님께 올린, 어육장 어육장은 궁중에서 왕실을 위해 담근 특수 장류 중 하나로 육류와 식물, 해산물로 제조됩니다. 전통 장류의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에 비해 인체에서 이용되는 비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어육장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식품으로, 현재 전통식품명인 37호로 지정된 권기옥 전승자가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통장의 특징 우리나라의 전통장은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여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 사람들의 부족한 영양분을 보완해 주는 요긴한 식품입니다. 우리나라 장은 크게 간장, 된장, 고추장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과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거나 특수한 방법으로 띄운 메주를 사용하여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닌 특수 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통장류는.. 2023. 2. 27.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던 소의 혀 요리, 우설편육 필자가 군대를 제대하고 바로 취직을 한 곳이 지금은 웨딩으로 유명한 호텔입니다. 청담동에 위치한 곳인데 그때 깜짝 놀랐던 음식 중에 하나가 소의 혀 요리였습니다. 그런데 더 놀랐던 건 소의 혀가 냉동상태로 대량으로 들어온다는 것이었습니다. 솔직히 전 아직도 맛을 보진 못했지만 동, 서양 요리에 같은 재료가 쓰인 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우설 편육이란? 우설 편육은 소의 혀인 우설을 사용하여 만든 음식으로 조선 시대 궁중 음식 중 하나입니다. 우설 편육은 깨끗이 손질한 우설과 생강, 마늘을 함께 물에 넣고 푹 삶은 후 우설의 껍질을 벗겨내고 얇게 썰어 내어 초간장이나 겨자장을 곁들여 먹습니다. 우설 편육 조리법 일반적으로 편육은 고기를 덩어리째 삶아서 눌러 식혀 두었다가 얇게 썰어 낸 음식을 말합니다. 고.. 2023. 2. 1.
궁중에서 일상식으로 꼭 오르던 - 금중탕(錦中湯) 필자가 전에 조리장 시험을 준비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이 한식의 궁중 음식이었습니다. 필자는 양식을 전공해서 양식의 실기는 매일 하던 거라 어려움이 없었는데 선택 과목 중에 한식, 일식, 중식 중 한식을 택하였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음식 명 자체가 매우 생소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금중탕도 이름만으론 잘 모르겠습니다. 금중탕(錦中湯)의 정의와 특징 쇠고기, 닭고기, 전복, 해삼, 다시마, 무, 박고지를 넣어서 푹 삶은 다음 건더기를 꺼내 썰고 양념하여 다시 끓인 국입니다. 금중탕은 주로 궁중에서 먹던 국입니다. 시대에 따라 재료 변화가 있지만 닭, 쇠고기, 내장, 두골, 곤자소니, 배골, 해삼, 전복, 청과, 수근, 청근, 박고지, 진이 등 고급 재료가 사용됩니다. 양념도 간장, 호초말, 진말, 진유.. 2023. 1.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