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추4 나는 밥이 아니고 떡이랍니다, 약식 이야기 약밥, 약반(藥飯)이라고 불리는 약식(藥食)은 정월 대보름과 회갑, 혼례 등 큰 잔치에 만들어 먹는 전통음식입니다. 약식은 꿀, 간장, 참기름으로 간을 한 찹쌀밥에 잣, 밤, 대추 등을 섞어 쪄낸 음식입니다. 주식보다는 떡으로 분류합니다. 이번엔 약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약식의 유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1 「기이(紀異)」편, 사금갑조(射琴匣條)에, 신라 21대 소지왕이 제위에 오른 지 10년 되는 해, 정월 대보름에 까마귀가 재앙을 미리 알려 왕의 목숨을 구했고, 이에 대한 보은으로 이날을 까마귀 제삿날(烏忌日)로 정하고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게 제사 지냈다는 고사가 나옵니다. 이처럼 정월 대보름에 찰밥을 짓는 풍습에서 약식의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찰밥에 꿀과 기름을 섞고 밤.. 2023. 1. 25. 밥과 떡을 오가는 우리의 전통간식 "약밥" 필자는 떡을 무척 좋아하는 편인데 떡인지 밥인지 아리송한 우리의 전통 간식이 있습니다. 바로 약밥인데 자료를 찾아보니 굉장히 오래전부터 우리 조상님 들이 즐겨 먹던 영양식이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몸에 좋은 재료를 넣어 만든 음식이라 약밥이라 하는 거 같습니다. 이번엔 약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약밥의 정의와 특징 약밥 또는 약식(藥食)은 찹쌀에 대추, 밤, 잣 등의 견과류를 섞어 쪄낸 후 기름, 꿀, 간장에 버무려 먹는 음식입니다. 이름과는 달리 약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약식이라는 이름은 꿀이 들어갔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이전에는 꿀이 들어간 음식에는 약(藥) 자를 붙이는 일이 많았다고 합니다. 약과가 대표적 예입니다. 약밥을 '밥'이라고는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콩밥이나 팥밥과 같은.. 2022. 12. 1. 대추가 건강에 좋은 10가지 효능(수험생 필독) 비타민과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약재의 성분을 완충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과일보다는 약으로 더 많이 인식되고 있는 대추. 토실토실 알이 꽉 차오른 가을 대추는 특히 각종 여성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꿀에 잘 재워 뒀다가 차 한잔 마시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에 약이 되는 대추를 좀 더 효과적으로 먹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대추의 정의 대추나무에서 열리는 과일의 일종. 갈매나무 과에 속합니다. 예전부터 조, 홍조, 대조, 목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 과실로 남유럽, 서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언제 들어왔는지 정확한 시점은 불명이나, 고려 명종 때 재배를 권장한 기록이 있어서 대체로 고려시대 이전 교역을 통해 들어왔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대추는 과실에 속하지만 원.. 2022. 11. 7. 가을에 만나는 몸에 좋고 맛도 좋은 제철 음식들 '천고마비' 란 단어는 필자는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늘이 높은 건 좋은데 말이 살이 찔 정도로 입맛이 좋다는 얘기입니다. 세월이 지날수록 몸에 변화가 오는 게 서글퍼집니다. 그래도 제철 음식은 먹고 가야 하니 조금만 먹는 거로 하고 달달하면서도 몸에 좋은 제철음식 소개합니다. 가을에 더 맛있는 달달한 제철 음식들 ■ 늙은 호박 늙은 호박은 미국 축제 핼러윈 데이(Halloween, 10월 31일)의 상징인 잭 오 랜턴(Jack O’ Lantern, 호박에 눈과 입 모양으로 구멍을 낸 것)에서도 만나볼 수 있는 제철식품입니다. 여기에 사용되는 늙은 호박은 우리의 토종 늙은 호박보다 좀 더 원형에 가깝습니다. 토종 늙은 호박과 애호박이 동양계인 반면, 핼러윈데이에 사용되는 늙은 호박과 단호박은 서양계입.. 2022. 10.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