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울별미6

반찬에도 예의를 갖춘 우리민족 - "숙깍두기" 서울지역의 향토 음식인 숙깍두기는 깍둑 하게 썬 무를 무르게 삶아 미나리, 대파, 갓, 쪽파, 새우젓, 고춧가루 등을 넣고 버무려 담근 깍두기의 일종입니다. 가을 김장철에 주로 담그는데 일반 깍두기와는 맛이 다르며, 이가 약한 노인들이나 아이들에게 좋습니다. 무는 버무릴 때 뭉그러지지 않게 살짝 삶아 냅니다. 깍두기에 담긴 배려와 기원 무는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재배됐고 재배도 용이하여 김치 재료로 많이 이용됩니다. 따라서 무를 이용하여 담그는 김치도 다양하고 그 밖에 실생활에서도 갖가지 형태로 응용됩니다. 사각형으로 썬 무를 사용하여 만드는 깍두기는 무가 제철인 늦가을에서 이른 겨울에 담가 먹는 김치입니다. 깍두기는 설렁탕, 곰탕과 같은 국밥에 빠뜨릴 수 없는 찰떡궁합의 반찬이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 2023. 1. 18.
늙은 호박으로 맛을 낸 시루떡, 물호박떡 물호박떡은 늙은 호박을 얇게 저며 쌀가루와 섞어 만든 시루떡입니다. 맷돌 호박, 청동호박이라고도 불리는 늙은 호박은 호박고지를 만들거나 겨우내 저장하여 죽이나 떡, 나물 등의 재료로 활용하였습니다. 추석 무렵부터 겨울철에 많이 만들어 먹는 떡인 물호박떡은 호박 특유의 은근한 향과 사각거리며 씹히는 질감이 잘 어우러져 옛 정취를 느끼게 하는 맛입니다. 물호박떡의 정의와 늙은 호박의 효능 시루떡은 예부터 집안의 경조사 때나 이사한 다음 이웃과 돌려 먹던 친숙한 떡입니다. 시루떡의 떡가루는 멥쌀이나 찹쌀, 또는 이 둘을 섞어 사용하고 고물로는 주로 사용하는 팥 외에 녹두나 깨 등을 얹기도 하였습니다. 물호박떡은 얇게 저민 늙은 호박이나 썰어 말린 호박고지를 물에 불려 쌀가루와 섞어 만든 시루떡입니다. 임진왜란.. 2023. 1.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