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와사비4 향신료의 매운맛 2배로 즐기는 방법 요즘 초중생을 중심으로 마라탕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마라탕의 매운맛은 정말 아찔하고 고통스럽습니다. 이런 자극적인 맛을 왜 아이들은 좋아할까요? 오늘은 향신료의 매운맛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안의 매운맛 줄이는 방법 • 매운 음식을 먹고 예상보다 맵다면 물을 벌컥벌컥 마시고 싶겠지만 사실 효과는 별로 없습니다. • 레드칠리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은 지용성이라서 물에는 녹지 않습니다. • 요거트나 우유 등 유지방은 매운맛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매운 카레에 날달걀을 섞는 것 또한 혀를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어서 매운맛을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매운맛과 몸의 변화 • 매운 음식을 먹으면 모이 더워졌다가 다시 땀을 흘리며 몸이 식습니다. • 정반대의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니 신기.. 2024. 1. 18. 와사비의 숨겨진 놀라운 효능 어떤 게 있을까요? 겨울입니다. 겨울엔 회를 먹어줘야 하는데 회를 먹을 때 꼭 필요한 향신료가 있습니다. 바로 와사비인데요. 회를 먹다 보면 비린맛도 나고 지방이 많은 회는 느끼하기도 합니다. 이럴 때 와사비가 비린맛과 느끼한 맛을 잡아주는데요. 이런 것 말고도 와사비에 놀라운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맵고 알싸한 맛에 천연 소독제 역할까지 생선회에 고추냉이를 곁들이는 이유는 단지 맛 때문일까요? 맛도 큰 역할을 하지만, 고추냉이 속 성분의 살균 효과 덕분입니다. 고추냉이의 살균 성분은 크게 알릴 이소치오사아네이트(Allylisothiocyanate)'와 '메칠치오알킬이소치오시아네이트(Methylthioalkylisothiocyanate)'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고추냉이의 매운맛과 .. 2023. 11. 30. 일본의 대표 향신료 와사비(山葵)에 관한 이야기 회나 초밥을 먹을 때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주며 매콤한 맛을 내주는 향신료인 와사비. 대부분 와사비와 고추냉이를 같은 식물로 알고 있으나 엄연히 둘은 다른 식물이다. 물론 뿌리는 같으나 분류상 다른 식물이다. 요즘엔 육류에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와사비에 대해 알아보자. 와사비의 정의 양귀비목 십자화과 고추냉이 속 여러해살이풀. 품종에 따라서 북한, 동해안, 사할린, 일본 북부가 원산으로 기본적으로 서늘하면서 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건조한 환경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학명에서부터 드러나듯이 일본 품종이 대표적이라 흔히 '와사비'라고 부른다. 자생 지역이 적고 재배환경이 가장 까다로운 식재료이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싸다. 재배법이 개발된 것만도 기적일 따름. 일정하고 아주 깨끗한 샘물이 끊임없이 흐르는 곳이어.. 2022. 7. 27. 향신료를 찾아 떠나는 인류의 관점과 역사 요즘은 향신료가 많이 대중화되어 익숙한 식재료가 되었지만 과거 인류는 목숨을 걸고 구하는 매우 귀한 물건이었습니다. 왜 인류가 그렇게 향신료에 목숨을 걸었는지 알아보고 그렇게 해서 얻은 향신료가 어떻게 인류의 생활을 바꿨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향신료의 정의 및 활용 일반적으로 우리가 향신료라고 하는 것은 후추, 계피, 고추냉이 등 음식물에 향기와 맛을 더해주는 식물성 물질입니다. 사람들은 이미 근대 이전부터 향신료를 구하기 위해 미지의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대항해 시대를 열었고 오늘날 향신료는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인류의 식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다준 향신료의 종류는 실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심지어 동남아 지역에서는 정통 음식을 만들 때 첨가되는 향신료만 해도 20여 가지가 넘.. 2022. 7.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