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라북도7 부안해변에서 잡힌 바지락으로 맛을 낸, 바지락죽 바지락을 넣어 만든 음식을 생각하면 칼국수가 가장 대표적이고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봉골레 파스타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근래에 향토음식을 공부하다 보니 부안에서는 바지락으로 죽을 끓여 먹는다는 내용을 알았습니다. 바지락으로 죽을 끓이면 영양적으로도 매우 좋다고 합니다. 알아보러 가겠습니다. 전라북도 부안의 특징 바지락죽은 지구에 존재하는 5대 갯벌 중 하나에 속하는 서해 갯벌에서 수확한 바지락에 쌀과 녹두, 당근, 마늘, 파, 표고버섯 등을 넣어 끓인 다음 인삼채를 얹어낸 죽으로 백합죽과 더불어 조개의 고장으로 이름난 전라북도 부안군의 대표적인 향토 음식입니다. 우리나라 서해 갯벌은 지구상 5대 갯벌 중 하나로 꼽힐 만큼 다양한 갯벌생물들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0년에 완공을 본 새만.. 2023. 2. 9. 서민 보양식으로 걸쭉하고 구수한 맛이 특징인, 남원 추어탕 이번에 소개할 음식은 필자의 회사 제품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는 음식입니다. 대부분 추어탕을 먹을 때면 먹기 바로 전에 넣는 향신료가 있습니다. 다들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지역 중에서 남원의 추어탕이 맛있다고 전국에 소문이 자자합니다. 서민이 몸 보양식으로 먹었던 지금도 즐겨 먹고 있는 추어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남원 추어탕의 정의와 유례 전라북도 남원에서는 가을걷이를 마치면 겨울잠에 들어가는 미꾸라지를 잡아 국을 끓여 함께 나누어 먹으며, 기운을 보충하고 겨울을 대비하였다고 합니다. 추어탕은 지역별로 다양하지만 남원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통째로 갈아서 된장에 버무린 시래기 등과 함께 끓여낸 것이 특징으로 남원시의 향토 음식입니다. 추어탕은 가을바람이 불 무렵 무더위에 지친 서민들의 기를 보충해 주고.. 2023. 2. 8. 몸이 허하고 기력이 떨어지면 이 음식, 고창 풍천장어구이 우리나라의 오래된 영양식품으로 사랑받아온 음식이 장어구이입니다. 한편으론 남성에 편중한 정보들이 많지만 장어는 남녀노소 누구나 영양학적으로나 보양식으로 매우 이로운 음식입니다. 대부분 장어구이를 파는 가게이름을 보면 풍천장어라고 하는데 이번엔 왜 풍천장어라고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풍천장어구이의 정의 풍천장어구이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인천강(仁川江)의 하구에서 잡은 뱀장어에 고추장소스를 발라 구운 고창군의 향토 음식입니다. 인천강 하구에서 잡은 장어를 '풍천장어'라고 하는데, 일반 뱀장어에 비해 육질이 단단하고 영양가가 높아서 맛도 훨씬 고소합니다. 전국 어디에서나 장어구이 식당에 ‘풍천장어’라고 써 붙인 간판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장어 중에서도 풍천장어를 으뜸으로 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 2023. 2. 8.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