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상남도5

북에 평양냉면이 있다면 남에는 진주냉면이 있다 진주냉면은 조선 시대부터 한강 이남을 대표하는 냉면으로서 해물을 끓여낸 장국과 쇠고기 국물을 배합한 육수에 메밀국수를 말아서 만든 경상남도 진주시의 향토음식입니다. 진주는 산과 강, 바다 등지에서 나는 풍부한 물산과 조세가 집합되는 지정학적 배경으로 인해 냉면이 발달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대표 여름 음식, 냉면 냉면은 메밀가루에 녹말을 섞어 만든 면을 동치미 혹은 소고기나 해물로 낸 육수 등에 말아먹는 국수입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규곤요람(閨壼要覽)』, 『시의전서(是議全書)』, 『규합총서(閨閤叢書)』 등 고문헌에 냉면에 관한 기사나 조리법이 많은 것을 통해 조선시대에도 즐겨 먹었던 음식으로 추정됩니다. 『규합총서』에는 “동치밋국에 가는 국수를 넣고 무, 오이, 배, 유자를 저며 .. 2023. 4. 21.
생김새와는 다른 부드럽고 영양가 높은, 마산 아구찜 마산 아구찜은 말린 아귀에 콩나물과 미나리, 미더덕 등을 넣고 매운 양념을 얹어 쪄낸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옛 마산시)의 향토음식입니다. 아귀는 흉측한 생김새와 달리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적어 소화가 잘되며 다이어트에도 좋은 식품입니다. 마산 아구찜의 주인공, 아귀의 역사와 특징 마산 아구찜의 주된 재료인 ‘아구’는 아귀의 경상도 방언으로 본래 ‘아귀찜’이 표준어지만, 마산의 아귀찜이 전국적으로 유명해지면서 요즘은 어디서나 보통 ‘아구찜’이라고 부릅니다. 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서 일반적으로 아귀 하면 황아귀를 말합니다. 황아귀의 몸은 납작하고 머리가 몸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커다란 입과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약전(丁若銓)의 『자산.. 2023. 4. 5.
항일 투쟁의 혼이 담겨있는, 의령 망개떡 망개떡은 경상남도 의령지역에서 5월 단오 때부터 한겨울까지 만들어 먹던 전통음식입니다. 망개떡은 청미래덩굴(나무)을 일컫는 경상도 방언인 망개나무에서 유래했습니다. 청미래덩굴, 즉 망개나무 잎으로 싸는 떡이라 해서 '망개떡'으로 부르게 됐습니다. 임진왜란 때는 전투식량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의령 만개떡의 정의와 특징 망개떡은 청미래덩굴 잎으로 떡을 감싼 송편의 일종으로 경상남도 의령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입니다. 청미래덩굴은 백합과의 활엽 덩굴성 관목으로 뿌리에는 녹말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흉년에는 구황식품으로 이용되었습니다. 망개떡은 경상남도 의령군의 향토음식으로 떡의 형태와 만드는 법은 송편과 유사하지만 떡을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감싸서 쪄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떡의 명칭은 경상도 지방에서는.. 2023. 3. 28.
통영 충무김밥, 바다 향이 담긴 특별한 김밥 통영 충무김밥은 충무김밥의 지역별 변형 중 하나로, 남해안의 작은 도시인 통영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김밥은 특별한 재료와 만드는 방법으로 인해 다른 지역의 충무김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통영 충무김밥의 역사와 특징, 그리고 만드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통영 충무김밥의 정의와 역사 충무김밥은 쌀밥을 김에 한입 크기로 말아서 무김치, 오징어무침 등과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만든 경상남도 통영시의 향토 음식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김밥 하면 김 위에 밥을 깔고 시금치, 우엉, 단무지, 계란지단, 소고기볶음, 게맛살, 햄 등 다양한 재료를 취향대로 넣고 둥글게 말아서 적당한 두께로 잘라낸 음식을 연상합니다. 김 위에 밥을 얹고 여러 가지 고명을 얹어 말아 싼 형태의 .. 2023. 3.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