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별미6 오미자화채: 건강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챙기는 화채의 기본 오미자 화채는 오미자를 우려낸 맑은 물에 꿀이나 설탕을 넣고 배와 잣을 띄운 화채입니다. 봄에는 진달래 꽃, 여름에는 장미꽃이나 앵두 혹은 보리, 가을에는 배, 과일이나 꽃을 구하기 힘든 겨울에는 녹말로 가는 국수를 만들어 띄웠습니다. 이번 글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전통 음료와 그 종류들 우리나라 전통 음료에는 시원하게 마시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있습니다. 과일즙이나 꿀물, 오미자 물에 꽃잎이나 과일을 띄운 화채, 엿기름에 쌀밥을 삭혀 만든 식혜, 쌀이나 곡물을 쪄서 말린 다음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꿀물이나 물에 타서 마시는 미수, 한약재나 계피, 생강을 달여서 맛을 낸 수정과, 꿀물이나 과일즙에 떡을 띄운 수단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끓여서 뜨겁게 마시는 음료를 차(茶)라 하고.. 2023. 4. 18. 서울의 대표적인 향토음식, 설렁탕 알아보기 서울에서 유래된 음식으로 소의 여러 부위를 넣고 끓여내 밥과 함께 내놓습니다. 사골과 도가니를 위주로 양지를 주로 국거리로 쓰며, 10시간 정도 가열하면 고기와 뼛속에 있는 성분이 흘러나와 국이 유백색을 띠게 됩니다. 이번 글에선 설렁탕의 역사와 곰탕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설렁탕의 역사와 특징 조선시대 역대 왕들은 동대문 밖 전농동(지금의 동대문구 제기동) 선농단에 적전(籍田)을 마련하고 음력 정월 하순이 되면 종친, 신하들과 함께 선농단에서 풍년을 비는 제사를 지낸 뒤 친히 밭을 갈아 보임으로써 농사의 소중함을 백성들에게 알리는 일종의 권농행사를 하였습니다. 행사 때 모여든 많은 사람을 대접하기 위하여 소를 잡아 통째로 큰 가마솥을 수십 개 걸어놓고 끓여서 뚝배기에 국밥을 말아 낸 것이 오늘날 .. 2023. 4. 4. 궁궐에서 정성껏 만들어 임금님께 올린, 어육장 어육장은 궁중에서 왕실을 위해 담근 특수 장류 중 하나로 육류와 식물, 해산물로 제조됩니다. 전통 장류의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에 비해 인체에서 이용되는 비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어육장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식품으로, 현재 전통식품명인 37호로 지정된 권기옥 전승자가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통장의 특징 우리나라의 전통장은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여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 사람들의 부족한 영양분을 보완해 주는 요긴한 식품입니다. 우리나라 장은 크게 간장, 된장, 고추장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과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거나 특수한 방법으로 띄운 메주를 사용하여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닌 특수 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통장류는.. 2023. 2. 27. 전통 불고기의 모습을 아니 모르니, 너비아니 근래에 마트에 가면 너비아니란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맛은 있으나 왠지 불고기 맛이나는 햄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본디 너비아니는 궁중음식이었다고 합니다. 이번엔 궁중음식인 너비아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너비아니의 정의 너비아니는 얇고 넓게 저민 쇠고기에 양념장을 무쳐 석쇠에 구운 음식입니다. 고기를 너붓너붓 썰었다고 하여 너비아니라고 합니다. 요즘의 불고기와 유사한 음식입니다. 삼국시대와 고려 시대를 거치면서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을 절제하고 채식 위주의 식단이 몽골 침입 이후 고기구이 요리가 되살아났고 이것이 너비아니로 이어지게 됐습니다. 너비아니의 역사와 조리법 우리나라 전통적인 고기구이는 맥적(貊炙)이란 요리라고 합니다. 맥족이라 불리는 우리 조상이 먹는 고기구이라 하여 .. 2023. 2. 7.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