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테이크7 매장에서 사용하는 레시피 - 베샤멜 소스 근래에는 크림소스를 만들지 않고 생크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크림소스의 대명사는 베샤멜 소스입니다. 생크림만으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고소한 깊은 맛이 있습니다. 이번엔 베샤멜 소스의 기원과 레시피, 만드는 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베샤멜 소스란? 크림을 대표하는 소스입니다. 프랑스 요리에서는 한국의 된장, 고추장과도 같은 핵심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파스타나 수프의 베이스로 널리 사용되는 소스입니다. ● 베샤멜은 프랑스 루이 14세 시절 후작이던 베샤멜이라는 사람의 이름으로부터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 베샤멜 요리사가 만든 소스라고 하여 베샤멜 소스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 서양에서는 주로 색이 하얗다고 하여 'white sauce'라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크림소스라고 불리.. 2022. 9. 29. 일본의 대표 향신료 와사비(山葵)에 관한 이야기 회나 초밥을 먹을 때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주며 매콤한 맛을 내주는 향신료인 와사비. 대부분 와사비와 고추냉이를 같은 식물로 알고 있으나 엄연히 둘은 다른 식물이다. 물론 뿌리는 같으나 분류상 다른 식물이다. 요즘엔 육류에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와사비에 대해 알아보자. 와사비의 정의 양귀비목 십자화과 고추냉이 속 여러해살이풀. 품종에 따라서 북한, 동해안, 사할린, 일본 북부가 원산으로 기본적으로 서늘하면서 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건조한 환경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학명에서부터 드러나듯이 일본 품종이 대표적이라 흔히 '와사비'라고 부른다. 자생 지역이 적고 재배환경이 가장 까다로운 식재료이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싸다. 재배법이 개발된 것만도 기적일 따름. 일정하고 아주 깨끗한 샘물이 끊임없이 흐르는 곳이어.. 2022. 7. 27. 집중력이 필요한 수험생에게 유익한 로즈메리 항균, 살균 작용으로 요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천연 향신료 로즈메리. 피부에 보습효과와 진정 작용으로 화장품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향신료이기 때문에 식용으로 더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엔 차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고 특히 수험생들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로즈메리의 특징 및 주요 생산국 학명 'Rosmarinus'는 라틴어로 'ros marinus'의 합성어로 '바다의 이슬'이라는 뜻으로 자생지의 해변가에서 독특한 향기를 발하는 의미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보통 햇빛이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라며 한국에는 1990년경에 들어와 주로 원산지 기후와 비슷한 남해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 중부 지방은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합니다. 식재료는 도매시장에서 주로 유통되고 작은 화분은 .. 2022. 7. 21.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