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향토음식58

게장 국물로 맛을 낸 지져 먹는 김치, 게국지 근래에 필자의 포스팅은 지역 음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혹시나 주말에 여행을 준비하고 있거나 먹고 싶은 게 있을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충청남도 해안가에서 많이 잡히는 게를 이용한 음식입니다. 시원한 국물에 칼칼한 김치가 어울리면 정말 맛있는 요리가 완성됩니다. 알아보겠습니다. 게국지의 정의 게국지는 게나 게장 국물을 넣고 만든 김치를 지져 먹는(끓여 먹는) 음식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충청남도의 향토 음식입니다. 요즘 방송에 소개되는 꽃게와 새우가 들어간 해물탕 형태의 게국지는 본래의 모습과 차이가 큽니다. 충청남도의 향토음식인 게국지는 본래 게장 국물이나 해산물 국물을 넣은 김치의 일종으로 깨국지, 겟국지, 겍꾹지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게국지는 먹을 게 귀하던 시절, 붉은발농게(황.. 2023. 2. 8.
한끼 식사로도 충분한 곡물 인스턴트 원료, 미숫가루 요즘은 초등학교라 부르지만 필자가 어릴 적엔 국민학교라고 했습니다. 필자가 나이가 좀 있습니다. 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면 일 나가신 어머님이 쪽지 한 장 남겨놓고 가신적이 많았는데 그중에 가장 많은 메모가 "배고프면 미숫가루 타 먹어라"라고 하시던 말씀이 기억이 납니다. 추억의 음료이자 근래에는 건강음료인 미숫가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숫가루의 정의 보리나 멥쌀, 찹쌀 등의 곡물을 쪄서 말린 후에 솥에 넣고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미숫가루라고 합니다. 미숫가루를 시원한 꿀물이나 설탕물에 넣어 만든 음료를 미수라 합니다.  미숫가루는 휴대하기 간편하고 저장성도 좋아 일종의 인스턴트식품이라 할 수 있는데, 언제 어디서나 물만 있으면 먹을 수 있었던 여름철의 음료수이자 식사 대용품입니다.  미수와 .. 2023. 2. 7.
전통 불고기의 모습을 아니 모르니, 너비아니 근래에 마트에 가면 너비아니란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맛은 있으나 왠지 불고기 맛이나는 햄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본디 너비아니는 궁중음식이었다고 합니다. 이번엔 궁중음식인 너비아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너비아니의 정의 너비아니는 얇고 넓게 저민 쇠고기에 양념장을 무쳐 석쇠에 구운 음식입니다. 고기를 너붓너붓 썰었다고 하여 너비아니라고 합니다. 요즘의 불고기와 유사한 음식입니다. 삼국시대와 고려 시대를 거치면서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을 절제하고 채식 위주의 식단이 몽골 침입 이후 고기구이 요리가 되살아났고 이것이 너비아니로 이어지게 됐습니다. 너비아니의 역사와 조리법 우리나라 전통적인 고기구이는 맥적(貊炙)이란 요리라고 합니다. 맥족이라 불리는 우리 조상이 먹는 고기구이라 하여 .. 2023. 2. 7.
멸치대신 피라미나 빙어로 즐겨먹는, 도리뱅뱅이 예전에는 바닷가에서 나는 음식을 내륙지방에선 구하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내륙에서 많이 잡히는 피라미나 빙어, 모레무지로 음식을 해서 먹은 기록이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음식이 도리뱅뱅이입니다. 특히 충청도 내륙 지방에서 많이 먹고 있는 도리뱅뱅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리뱅뱅이란 프라이팬에 빙어나 피라미, 모래무지 등의 작은 민물 생선을 빙 돌려 올려놓고 고추장 양념으로 튀겨낸 음식입니다. 물고기를 동그랗게 돌려 담는다고 해서 도리뱅뱅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도리뱅뱅이는 각종 무기질과 칼슘, 단백질이 풍부하고 곁들여지는 채소와 함께 먹으면 일상에 지쳐 잃었던 입맛을 돋웁니다. 바다 생선이 귀한 내륙지방인 충청 북도 지역에서는 강이나 호수에서 잡은 민물고기를 즐겨 먹었습니다. 강이나 시냇가에서 잡은.. 2023. 2.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