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요리/한국의 전통음식

하루에 아홉 번을 먹는다구? 정월 대보름 오곡밥 이야기

by herb jjang 2023. 1. 25.
반응형

정월 대보름에 풍 농을 기원하며 먹는 오곡밥은 다섯 가지 곡식, 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섞어 지은 밥으로 보름 밥이라고도 합니다. 오곡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사실상 모든 곡식을 뜻한다는 말이고, 즉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다가오는 정월 대보름 오곡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보름 달
대보름 달

 

반응형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의 기원

 

음력 정월 보름날의 전통적인 음식인 오곡밥은 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섞어 지은 밥이지만 곡식의 종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재료가 고정적이지 않은데도 그 이름을 오곡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사실상 모든 곡식을 뜻한다는 말이고, 즉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들

 

정월 대보름에 만들어 먹는 별식으로 약밥(약식)이 있는데, 약밥에 들어가는 잣, 대추, 밤 등은 당시 서민들이 구하기 어려운 재료였기 때문에 대신 오곡밥을 먹게 된 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약식
정월 대보름에 먹는 약식

 

 

오곡밥에 담긴 의미

 

오곡밥이라는 이름은 전국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는 ‘찰밥’이나 ‘잡곡밥’이라는 이름을 많이 썼고, 경기·충청·강원도지역에서는 주로 ‘오곡밥’이라고 불렀습니다.

 

조선 후기에 기록된 『동국세시기』(조선 후기 홍석모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세시풍속 집입니다.)에는 “오곡으로 잡곡밥을 지어먹는다. 그리고 또 이것을 나누어 준다. 영남지방의 풍속 또한 그러한데 종일 이 밥을 먹는다. 이것은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옛 풍습을 답습한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보름날(또는 열 나흗날)에는 다른 성씨를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습니다.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이것을 조리밥 또는 세성받이밥이라 하는데, 열 나흗날 저녁 또는 보름날 아침에 아이들이 이웃집으로 조리를 들고 보름밥을 얻으러 돌아다녔다. 이렇게 얻어온 밥을 먹어야 더위를 안 먹는다고 믿었다. 오곡밥은 하루에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하여 제철에 수확해 말려둔 나물 아홉 가지를 곁들여 여러 차례 나누어 먹었습니다.

 

대보름날 아침 식사 후에는 소에게 오곡밥과 나물을 차려주어 한 해의 농사를 점치기도 했는데, 소가 오곡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 오곡밥 조리과정

 

1. 찹쌀, 팥, 콩, 찰수수를 고루 섞고 받아 놓은 팥물에 물을 보태어 보통 밥을 지을 때보다 물을 적게 잡아 소금을 물에 섞어 밥을 짓는다.

2. 밥이 끓어오르면 좁쌀을 얹고 부을 줄여 천천히 뜸을 들인다.

3. 뜸이 다 들었을 때 주걱으로 골고루 섞어서 그릇에 푼다.

 

 

참고자료

 

보고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5(향토음식편).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4.

웹페이지: "오곡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 n.d. 수정, 2018년 3월 20일 접속

웹페이지: "한국세시풍속사전, 오곡밥." 한국민속대백과사전. n.d. 수정, 2018년 3월 20일 접속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