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향토음식58 푸짐한 양의 세숫대야냉면의 기원과 이유 자 이제 냉면의 계절이 왔습니다. 정신 나간 소리라고 들리시겠지만 냉면은 원래 겨울 음식입니다. 차가운 동치미 국물에 메밀면을 넣어 먹을 수 있는 계절이 겨울 밖에 없었습니다. 냉장고가 보급되면서 여름 음식이 된 것이지요. 이번 포스팅은 냉면 중에 가장 양이 많고 푸짐한 세숫대야냉면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냉면의 역사 냉면은 일반적으로 톡 쏘는 맛이 나는 국물에 냉면을 넣어 먹는 한국 요리입니다. 냉면은 길고 흥미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한국의 더운 여름철에 인기 있고 상쾌한 요리로 발전했습니다. 냉면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북한 출신- 냉면의 뿌리는 한국의 북부 지역, 특히 북한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북한의 수도인 평양에서 유래된 .. 2023. 12. 6. 제주도 인심은 "성게 미역국"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성게국은 구살국 또는 성게미역국으로 불리며 성게 알에 미역을 넣어 끓인 국입니다. 제주지역에서 국으로 만든 음식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제주특별자치도의 향토 음식입니다. 제주에서는 성게를 '구살'이라고 불러 '구살국' 또는 '성게미역국'이라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게 미역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게의 정의와 역사 ◈ 성게의 정의 성게는 성게아문 성게강에 속하는 극피동물로 본래 명칭이 ‘섬게’인데 일반적으로 성게로 불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식용하는 성게는 말똥성게, 보라성게, 북쪽말똥성게, 분홍성게 등이 있습니다. 성게는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초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종류와 지역에 따라 맛과 향, 색이 각기 다릅니다. 우리가 보통 성게 알을 먹는다고 하지만 실제로 성게에서 식용하는 .. 2023. 10. 4. 쏘가리 매운탕: 효심 가득한 자녀가 대접하는 최고의 매운탕 효자탕이라고도 불리는 쏘가리 매운탕은 민물고기 매운탕 중에 최고라고 손꼽습니다. 쏘가리 매운탕은 쏘가리와 애호박, 미나리, 풋고추, 무, 대파, 애호박 등의 채소를 넣고 끓인 음식입니다. 쏘가리는 산란을 앞둔 봄에 제일 맛이 오르는 시기이기 때문에 봄철에서 가을철에 걸쳐 잡히는 것이 맛이 좋습니다. 쏘가리의 개요 1. 쏘가리(Siniperca chuatsi)는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민물고기의 일종입니다. 날씬한 몸, 납작한 머리, 비늘에 검은 얼룩과 줄무늬가 있는 생동감 넘치는 패턴이 있는 독특한 외모가 특징입니다. 이 물고기는 길이가 최대 30cm에 달하며 살이 섬세하고 부드러운 맛으로 유명합니다. 2. 쏘가리는 우리나라의 한강을 중심으로 해서 남쪽으로는 낙동강, 서쪽으로는 압록강에 이르.. 2023. 9. 22. 강원도 음식: 여름엔 막국수, 겨울엔 장 칼국수 강원도의 3대 별미로 꼽는 장 칼국수는 예로부터 장류가 발달한 강원도 지역의 특색이 녹아 있는 투박하면서도 맛있는 음식입니다. 보통 국수의 기본은 해물 육수인데, 강원도 내륙의 산촌지방에서는 멸치나 다시마를 구하기가 힘들어 된장과 고추장을 풀어 육수를 만들고 얼큰하게 끓여낸 것이 바로 장 칼국수입니다. 장 칼국수의 정의 기존의 칼국수에 고추장과 된장으로 칼칼하게 맛을 낸 요리로 강원도의 향토 음식입니다. 멸치 육수에 각종 장을 넣어 간을 맞추기 때문에 국물 맛이 시원하고 구수한 것이 특징입니다. 지역에 따라 홍합과 같은 해산물을 넣기도 하고 간 고기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장 칼국수의 주재료인 된장은 콩으로 메주를 쑤어 말린 뒤 발효시킨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이며, 주로 음식의 양념으로 쓰이는 구수한 맛의.. 2023. 9. 19. 이전 1 2 3 4 5 ··· 15 다음 728x90 반응형